-
가계부채 뜻 의미 그리고 관련 경제지표 보는 곳오늘의 경제/국내경제동향 2024. 11. 22. 08:00
올해 3분기 주택담보대출을 포함한 가계부채가 사상 처음으로 1900조원을 돌파했습니다.
매일 들으니 가계부채 문제가 심각하다는건 알겠는데...
가계부채가 무슨 뜻인가요? 그거 어디서 보는 거예요?
오늘은 가계부채의 의미와 관련 경제지표를 어디서 볼 수 있는지 살펴볼게요!
가계부채란?
가계부채란 가계(가정 또는 개인)가 금융기관이나 기타 대출 기관으로부터 빌린 돈과 상환해야 할 채무를 의미합니다. 이는 가계의 경제 활동과 밀접하게 연관되며, 경제 전반에 걸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가계부채의 구성
가계부채는 주로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카드대금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택담보대출은 주택 구매나 임대 보증금을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대출입니다.
가계부채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신용대출은 개인의 신용도를 기반으로 금융기관에서 제공하는 대출입니다.주로 생활비, 교육비, 의료비 등을 충당하는 데 활용됩니다.
카드대금이 연체된 경우에도 가계부채에 포함됩니다.특히 연체일수가 5일을 초과하면 각종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외에도 가계부채에는 자동차 할부금, 학자금 대출, 사채 등이 포함됩니다.우리나라 가계부채 규모
1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2024년 3분기(7~9월)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가계대출은 1,913조 8,000억원으로
전분기말 대비 18조원 증가하였습니다.
출처: 한국은행 우리나라 가계부채 순위
2024년 1분가(1~3월) 기준으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8.9%로
IIF 정기 보고서에 들어가는 59개국 가운데 4위를 차지했습니다.
15일 국제금융협회(IIF) 세계 부채 보고서에 따르면 올 1분기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8.9%를 기록했다. IIF 정기 보고서에 들어가는 59개국 가운데 4위다. 스위스(126%), 호주(108.9%), 캐나다(101.2%)가 1~3위에 올랐다. 홍콩(92.5%), 태국(91.8%), 뉴질랜드(90.9%)가 뒤를 이었다.
- 한국경제, 韓, GDP대비 가계빚 비중 세계 4위 '불명예', 2024.07.15가계부채의 가파른 상승세, 위험한 이유
1) 가계의 상환부담 증가
소득 대비 부채 비율이 높아지면 가계는 소득의 많은 부분을 부채 상환에 사용해야 합니다.
특히, 금리 상승 시 이자 부담이 급격히 늘어나 재정적 어려움에 직면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2) 부동산 시장 거품과 붕괴 위험
가계부채가 주택담보대출에 집중되면 부동산 가격 상승을 부추겨 거품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부동산 가격이 하락할 경우 담보 가치가 감소하며, 금융기관과 가계 모두 큰 타격을 입을 위험이 있습니다.
3) 외부 충격에 대한 취약성 증가
글로벌 금융 위기나 금리 인상과 같은 외부 충격이 발생하면 가계와 금융기관이 이를 감당하기 어려워질 수 있으며,이는 경제 전반으로 위기가 확산될 가능성을 높입니다.
가계부채 관련 경제지표는 어디에서 보나요?
가계신용통계는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 http://ecos.bok.or.kr) –통계검색 – 간편검색에서
1. 통화/금융 >>1.2 금융기관 여수신 >>1.2.4 가계신용에서 조회 가능합니다.
링크를 눌러 이동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 난 분기별로 정리된 자료를 보고 싶다! 하시는 분들은
한국은행(https://www.bok.or.kr) 홈페이지에서 분기별 가계신용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링크를 눌러 이동할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정보를 보고 싶으시다면, 구독해 주세요!
출처
- 한국경제, 韓, GDP대비 가계빚 비중 세계 4위 '불명예', 2024.07.15
'오늘의 경제 > 국내경제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경제동향 분석방법과 주요 경제지표 (3) 2020.08.21